1. 기업 개요 및 핵심 사업
LG생활건강(051900.KQ)은 국내 대표적인 화장품, 생활용품, 음료 제조 기업으로, LG그룹 계열사 중 하나다. 1947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사업 확장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으며,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.
주요 사업 부문
LG생활건강의 사업 구조는 크게 화장품, 생활용품, 음료 세 가지 부문으로 나뉜다.
- 화장품 부문(Beauty): ‘후’, ‘숨’, ‘오휘’, ‘빌리프’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보유하며, 중국·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을 확장 중
- 생활용품 부문(Household): ‘페리오’, ‘엘라스틴’, ‘리엔’, ‘온더바디’ 등 생활필수품 브랜드 운영
- 음료 부문(Beverage): ‘코카콜라’, ‘스프라이트’, ‘파워에이드’ 등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 유통 담당
2025년에도 고급 화장품 브랜드 중심의 사업 확장 전략을 유지하면서,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.
2. 2025년 LG생활건강 실적 분석
(1)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
LG생활건강은 2023~2024년 실적 부진을 겪은 후, 2025년 1분기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.
- 2025년 1분기 매출: 약 1조 8,000억 원 (+6.2% YoY)
- 영업이익: 약 2,500억 원 (+8.5% YoY)
- 순이익: 약 1,800억 원 (+7.0% YoY)
- 영업이익률: 약 13.9%
▶ 2023~2024년 부진했던 화장품 부문이 회복세를 보이며 실적 개선이 진행 중
(2) 사업 부문별 실적 분석
① 화장품 부문(Beauty) – 매출 9,500억 원 (+8.4% YoY)
- ‘후’, ‘숨’, ‘오휘’ 등 프리미엄 브랜드 매출 반등
- 중국 시장 내 프리미엄 화장품 소비 회복
- 동남아 및 북미 시장에서의 점진적 성장
▶ 2025년부터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상승하며 실적이 본격적으로 개선 중
② 생활용품 부문(Household) – 매출 3,500억 원 (+3.2% YoY)
- 국내 생활용품 시장 내 안정적 성장
- 친환경·프리미엄 제품군 확대
▶ 생활용품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, 화장품 부문 대비 성장 속도는 낮음
③ 음료 부문(Beverage) – 매출 5,000억 원 (+5.5% YoY)
- 국내 코카콜라 브랜드의 지속적인 성장
- 건강음료·에너지 드링크 시장 확대
▶ 음료 부문은 안정적인 수익원 역할을 지속하며 실적 견인
3. 2025년 LG생활건강 기업 적정 주가 분석
(1) 밸류에이션 지표 비교
현재 LG생활건강의 주가는 2025년 3월 기준 약 74만 원 내외에서 거래되고 있다.
PER (주가수익비율) | 19.5배 | 22.8배 | 28.3배 |
PBR (주가순자산비율) | 2.8배 | 3.5배 | 4.2배 |
EV/EBITDA | 10.2배 | 11.8배 | 13.4배 |
▶ 글로벌 경쟁사 대비 여전히 저평가된 상태
(2) 목표 주가 전망
- 보수적 전망: 70만 원 ~ 80만 원
- 중립적 전망: 85만 원 ~ 95만 원
- 낙관적 전망: 100만 원 이상
▶ 중국 시장 회복과 프리미엄 화장품 매출 증가가 지속될 경우 90만 원 이상 상승 가능성이 있음
4. LG생활건강의 향후 성장 전략 및 리스크
(1) 성장 전략
① 프리미엄 화장품 확대
- 2025년 ‘후’ 브랜드의 초고급 라인 론칭
- ‘숨’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
② 해외 시장 다변화
- 동남아 및 북미 시장 적극 공략
- 글로벌 e커머스 채널 강화
③ 신사업 확장 및 M&A 전략
- 친환경·건강기능식품 브랜드 M&A 검토 중
(2) 주요 리스크
① 중국 시장 의존도
- 전체 매출의 30% 이상이 중국 시장에서 발생
- 중국 경제 둔화 시 실적 악화 가능성
② 글로벌 경기 둔화
- 프리미엄 소비재 시장 위축 가능성
③ 원자재 및 물류비 상승
- 화장품 및 생활용품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
5. 결론 및 투자 판단
LG생활건강은 2023~2024년 실적 부진을 극복하고, 2025년부터 본격적인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.
- 화장품 사업의 회복
- 음료 사업의 안정적 성장
- 해외 시장 다변화
현재 주가는 글로벌 경쟁사 대비 저평가 상태로, 장기적으로 90만 원 이상의 회복 가능성이 크다.
✅ 추천 투자 전략:
- 중장기적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는 70~75만 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전략 추천
- 보수적 투자자는 중국 시장 회복 여부를 확인한 후 접근 가능
📌 2025년 LG생활건강은 다시 성장 국면에 진입하고 있으며,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.